1. RBEL repository 추가
# rpm -Uvh http://rbel.frameos.org/rbel6
http://rbel.frameos.org/rbel6(을)를 복구합니다
경고: /var/tmp/rpm-tmp.pkye1T: Header V4 DSA/SHA1 Signature, key ID f345be74: NOKEY
준비 중... ########################################### [100%]
1:rbel6-release ########################################### [100%]
2. chef-client 설치
# yum install rubygem-chef
3. chef client 설정
# cd /etc/chef
# knife configure client .
WARNING: No knife configuration file found
Creating client configuration
Writing client.rb
Writing validation.pem
위와 같이 knife를 이용해 client.rb와 validation.pem 파일을 만들수 있다.
client.rb 파일을 열어 설정을 수정해 준다.
chef_server_url을 chef server 주소로 수정한다.
chef_server_url 'http://chef-server-address:4000'
4. private key 등록
chef client가 server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private key를 등록해야 하는데, server에 만들어져 있는 validation.pem 파일을 client로 복사한다.
# cd /etc/chef
# scp root@chef-server.example.com:/etc/chef/validation.pem .
5. chef-cilent 실행
chef-client를 실행해서 client.pem 파일을 생성해 준다. 그리고 chef server node에 등록이 된다.
# chef-client
[Thu, 10 Apr 2014 10:25:03 +0900] INFO: *** Chef 0.10.6 ***
[Thu, 10 Apr 2014 10:25:04 +0900] INFO: Client key /etc/chef/client.pem is not present - registering
[Thu, 10 Apr 2014 10:25:05 +0900] INFO: HTTP Request Returned 404 Not Found: Cannot load node chef-client
[Thu, 10 Apr 2014 10:25:05 +0900] INFO: Run List is []
[Thu, 10 Apr 2014 10:25:05 +0900] INFO: Run List expands to []
[Thu, 10 Apr 2014 10:25:05 +0900] INFO: Starting Chef Run for chef-client
[Thu, 10 Apr 2014 10:25:05 +0900] INFO: Running start handlers
[Thu, 10 Apr 2014 10:25:05 +0900] INFO: Start handlers complete.
[Thu, 10 Apr 2014 10:25:05 +0900] INFO: Loading cookbooks []
[Thu, 10 Apr 2014 10:25:05 +0900] WARN: Node chef-client has an empty run list.
[Thu, 10 Apr 2014 10:25:05 +0900] INFO: Chef Run complete in 0.310229 seconds
[Thu, 10 Apr 2014 10:25:05 +0900] INFO: Running report handlers
[Thu, 10 Apr 2014 10:25:05 +0900] INFO: Report handlers complete
6. chef server에서 node 정보를 확인한다.
# knife node list
chef-client.example.com
'OSS(Open Source Software) > chef' 카테고리의 다른 글
knife sub commands - client (0) | 2014.04.10 |
---|---|
cookbook 생성 (0) | 2014.04.10 |
chef workstation 설정 (0) | 2014.04.10 |
knife 사용 (0) | 2014.04.07 |
chef server 설치 (0) | 2014.04.07 |
chef workstation에서 ruby DSL(domain specific Language)로 코드를 개발한다. 그리고 chef에서 제공하는 knife를 이용해서 코드와 인프라를 관리한다. chef 시스템의 관리는 대부분 knife를 통해 이루어 지는데, chef workstation 설정은 결국 chef knife를 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과 같다.
설치는 chef server를 설치하면 함께 설치 된다.
'OSS(Open Source Software) > chef'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okbook 생성 (0) | 2014.04.10 |
---|---|
chef client 설치 (0) | 2014.04.10 |
knife 사용 (0) | 2014.04.07 |
chef server 설치 (0) | 2014.04.07 |
Chef 구성도 (0) | 2014.04.07 |
옵션
-s, --short short host name
-a, --alias alias names
-i, --ip-address addresses for the hostname
-I, --all-ip-addresses all addresses for the host
-f, --fqdn, --long long host name (FQDN)
-A, --all-fqdns all long host names (FQDNs)
-d, --domain DNS domain name
-y, --yp, --nis NIS/YP domainname
-F, --file read hostname or NIS domainname from given file
-s : 호스트 네임을 출력
-i : IP를 출력
-f : fqdn 출력(호스트 네임 + 도메인 네임)
-d : 도메인 네임 출력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emon.log 사용 (0) | 2014.04.18 |
---|---|
kern.log 설정 (0) | 2014.04.18 |
기본 텍스트 에디터 변경 (0) | 2014.04.09 |
리눅스 <-> 윈도우 텍스트 파일 복사 시 한글깨짐 (1) | 2014.04.08 |
wget을 이용해 웹서버의 스크립트를 바로 실행 (0) | 2014.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