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Linux 2014. 4. 8. 19:11

-O file

--output-document=file

The documents will not be written to the appropriate files, but all will be concatenated together and written to file.  If - is used as file, documents will be printed to standard output, disabling link conversion.  (Use ./- to print to a file literally named -.)

Use of -O is not intended to mean simply "use the name file instead of the one in the URL;"

rather, it is analogous to shell redirection: wget -O file http://foo is intended to work like wget -O - http://foo > file; file will be truncated immediately, and all downloaded content will be written there.


예제

# wget -O - http://url/script | bash

위와 같은 command로 스크립트를 로컬에 다운받지 않고 바로 실행 할 수 있다.


생각해보기 


위와 같은 command를 사용하면 간편할 수는 있다. 하지만 시스템 운영자의 입장에서 좋은 것일까??


기본적으로 방화벽으로 보호가 되어 있다는 전제가 있겠지만, 만약 외부에서 원격으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다면, 보안 취약점으로 볼수 있다. 이에 대한 대비를 충분히 해야 하는데, 어떤 방법으로 이를 방지할 수 있을까??


웹 서버를 구성하게 되면 옵션을 이용해서 스크립트를 실행을 막을 수 있다.

아직 이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해 보진 못하였지만, 기회가 되면 이에 대한 테스트도 진행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emon.log 사용  (0) 2014.04.18
kern.log 설정  (0) 2014.04.18
hostname  (0) 2014.04.10
기본 텍스트 에디터 변경  (0) 2014.04.09
리눅스 <-> 윈도우 텍스트 파일 복사 시 한글깨짐  (1) 2014.04.08
posted by 구닥다리 엔지니어
:
OS/windows 2014. 4. 8. 12:26

개요


유럽에서 대부분 "서머 타임"이라고 부르는 DST(일광 절약 시간제)는 현지 시간을 봄에는 한 시간 앞당기고, 가을에는 한 시간 뒤로 늦추는 제도입니다. 이렇게 봄과 가을의 시간을 DST로 변경하는 것은 북반구와 남반구 간 차이가 있습니다. 북반구의 DST는 나라와 대륙에 따라 3월이나 4월에 시작하여 10월이나 11월에 끝나고, 남반구에서는 이와 반대로 DST가 10월에 시작하여 3월이나 4월에 끝납니다. 일반적으로 DST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및 중남미 지역 일부에서는 채택되지 않습니다.

참고 url :http://support.microsoft.com/gp/cp_dst/ko-kr

설정 방법


1. 화면 우측 하단에 시간을 더블 크릭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나오면 날짜 및 시간 설정 변경 클릭

2. 표준 시간대 변경 클릭

3. 일광 절약 시간에 맞게 시게를 자동으로 조정 부분 체크 


'OS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xming 설치  (0) 2014.04.17
posted by 구닥다리 엔지니어
:
OSS(Open Source Software)/chef 2014. 4. 7. 21:50

knife는 chef client와 같은 레벨에서 작동하며, chef server API에 접근하기 위한 설정들이 필요하다.

knife 설정파일 이름은 knife.rb 이다.

설정파일에 들어가는 매개 변수는 다음과 같다.

  • node_name : chef-server 연결과 인증을 위한 client 이름
  • client_key : 인증에 사용한 Private key 파일
  • validation_client_name : chef-validator
  • validation_client_key : validation Private key 파일
  • chef_server_url : chef server의 url
  • cache_type : 기본은 'BasicFile'이다. 
    • BaiscFile, Berkeley, Couch, DataMapper, LMC, Memcache, Memory, MonfoDB, Redis, Rufus, S3, SDBM, Tyrant, Xattr, YAML을 지원한다.
  • cache_option : cache 옵션으로 cache_type에 따라서 달라진다.

1. knife client 인증
# mkdir ~/.chef

client의 홈디렉토리에 .chef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2. chef server에서 인증에 사용할 key 파일 복사

만약 workstation 서버와 chef-server를 다르게 사용할 경우에는 chef-server로부터 key 파일을 복사한다.

# scp root@IP:/etc/chef/validation.pem ~/.chef/

# scp root@IP:/etc/chef/webui.pem ~/.chef/

동일한 서버를 사용할 경우 바로 복사한다.

# cp /etc/chef/validation.pem /etc/chef/webui.pem ~/.chef/


2. knife 설정파일 생성

# knife configure -i

WARNING: No knife configuration file found

Where should I put the config file? [~/.chef/knife.rb]

Please enter the chef server URL: [http://localhost:4000] http://222.112.182.139:4000

Please enter a clientname for the new client: [root]

Please enter the existing admin clientname: [chef-webui]

Please enter the location of the existing admin client's private key: [/etc/chef/webui.pem] webui.pem

Please enter the validation clientname: [chef-validator]

Please enter the location of the validation key: [/etc/chef/validation.pem] validation.pem

Please enter the path to a chef repository (or leave blank):

Creating initial API user...

Created client[root]

Configuration file written to /root/.chef/knife.rb


'OSS(Open Source Software) > chef'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okbook 생성  (0) 2014.04.10
chef client 설치  (0) 2014.04.10
chef workstation 설정  (0) 2014.04.10
chef server 설치  (0) 2014.04.07
Chef 구성도  (0) 2014.04.07
posted by 구닥다리 엔지니어
: